1. 기존 프로젝트와 연동할 repository를 만든다. 2. 내가 작업중인 프로젝트는 vscode에서 작업하고 있으므로 vscode에서 terminal을 열고 git: bash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했다. 나의 경우 기존 remote의 origin을 삭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입력했다. (건너뛰어도 되는 부분) 3. 깃 초기화 4. repository 연결하기 git remote add origin 뒤에 깃허브 주소를 복사해 넣어주었다. 5. 연결된 repo 확인(fetch / push 주소 확인) 6. 새 repository에서 내용을 pull 받아 git history 동기화 7. 새 repository에 파일 업로드 위해 스페이지에 파일 올리기 git add .는 모든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린다는..
1. 몽고디비 사이트 접속 몽고디비 사이트에 접속한다. https://www.mongodb.com/home MongoDB: The Developer Data Platform Get your ideas to market faster with a developer data platform built on the leading modern database. MongoDB makes working with data easy. www.mongodb.com Build a Database 버튼을 눌러 cluster를 생성한다. 다음과 같은 설정으로 cluster를 생성해준다. cluster 이름은 boilerplate로 해주었다.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하여 몽고DB 유저도 생성해주었다. mongoD..
1. nodejs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검색창에 cmd를 입력하고 cmd창 내에서 node -v 명령어를 통해 nodejs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2. boiler-plate 폴더 생성 documents폴더로 들어간 뒤 boiler-plate 폴더를 생성하고 boiler-plate 폴더 안으로 들어간다. 3. npm init npm init 입력 후 다음과 같이 환경설정하여 새로운 or 존재하는 npm package를 만들어준다. author에는 자신의 이름을 입력한다. 4. visual studio로 프로젝트 열기 visual studio에서 방금 만든 프로젝트를 열면 package.json에서 npm init을 통해 설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5. index.js 생성 백엔드 시작점인 in..
1. GKE 클러스터 생성 kubernetes클러스터에 배포 자동화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GKE 클러스터를 생성해야 한다. 영역을 asia-northeast3-a, 제어 영역 버전을 정적 버전으로 한 kube라는 이름의 클러스터를 생성해주었다. 노드 수가 3개인 kube라는 이름의 GKE 클러스터가 생성되었다. vm 인스턴스에서 3개의 노드를 확인할 수 있다. 2. jenkins 설정하기 docker ps -a 명령어를 통해 myjenkins라는 이름의 jenkins 컨테이너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myjenkins 컨테이너 안에서 interactive bash shell이 실행되도록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했다. 명령어 입력을 통해 젠킨스 컨테이너 안으로 들어왔다. 3. 젠킨스 컨테이너에 gcloud ..
1. jenkins 컨테이너에서 interactive bash shell을 실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을 입력했다. interact bash shell이 실행되었다. 2. jenkins 컨테이너가 gke cluster에 접근할 설정이 다 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gcloud CLI를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