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 먼저 git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cmd창에 git --version입력 2. 만들던 프로젝트에서 터미널 키고 git init git init은 git 저장소를 만들어주는 역할 git저장소가 sub디렉토리에 생성됨 3. git status 통해 깃의 상태 확인 4. 파일들이 지금 작업하고 있는 working directory에서 github까지 push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taging area는 git repostiory에 파일들을 넣기 전 대기시켜주는 장소 5. git add . 를 통해 파일들을 working directory에서 staging area로 이동시킨다. 6. node_modules는 용량이 너무 커서 git에 올리지 않아도 된다. .gitignore파일을 만든 후..
1. 현재 연결된 원격 레포지토리 확인 personal이라는 이름의 레포지토리를 확인 가능하다. git remote -v 2. 원격 저장소의 연결 제거 personal이라는 이름의 레포지토리와의 연결을 끊었다. git remote remove 3. 확인 이제 아무런 레포지토리도 뜨지 않는다.
nodejs에서 npm run start를 실행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떴다. Emitted 'error' event on Server instance at: at emitErrorNT (node:net:1399:8)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83:21) { code: 'EADDRINUSE', errno: -4091, syscall: 'listen', address: '::', port: 5000 } 포트가 이미 사용중이라는 에러이다. 해결법은 해당 포트를 삭제하는 것이다. 해결방법 윈도우의 경우) cmd 창에 다음의 코드를 입력한다. netstat -ano | findstr "포트번호" 그러면 다음과 같이 pi..
몽고DB를 활용하는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이를 github에 올리려는데 내 몽고DB 계정은 보이지 않게 하려고 한다. 먼저 다음 코드를 통해 dotenv를 설치한다. npm install dotenv .env 파일을 만들고 몽고DB url을 MONGO_URI 라는 이름으로 넣어준다. MONGO_URI = 몽고DB의URI index.js 파일에 다음의 코드를 넣어준다. //index.js require('dotenv').config(); // .env 파일에서 환경변수 불러오기 mongoose.connect(process.env.MONGO_URI, {}) .then(() => console.log('MongoDB Connected...')) .catch(err => console.log(err)) 마지막으로..
node_modules를 github에 올리지 않기 위해 .gitignore 파일을 생성한 후 node_modules를 넣어주었지만 github에는 node_modules가 그대로 남아있었다. 이미 node_modules를 push 했기 때문에 작동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미 push한 node_modules를 삭제해야 한다. git rm : 원격, 로컬 저장소 모두 삭제 git rm --cached: 원격 저장소에서만 삭제 로컬에서는 node_modules가 필요하기 때문에 git rm --cached -r node_modules 를 입력해준다. (-r은 하위 폴더에도 적용하겠다는 옵션)
Model은 Schema를 감싸주는 역할! model 폴더를 생성 후 그 안에 User.js 를 다음과 같이 생성한다 .